한국의 도교문화 - 2
언제 : 2014년 1월 29일 수요일
어디 :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동왕부 서왕모」(東王父西王母)를 새긴 거울
1. 낙랑 2. 고려
중국인들이 사후에 가고자 소망했던 신선의 세계는 서왕모와 동왕부가 사는 곤륜산이나, 중국 동쪽 바다 가운데 신선들이
거주한다는 박산 등으로 묘사되었다. 서왕모와 동왕부는 곤륜산에 거주하면서 신선들을 다스리는 신이다.
서왕모무늬 전돌(西王母 畵像塼)
중국 한(漢)
일산을 쓰고 용호좌 위에 앉아 있는 서왕모가 표현되어 있다. 서왕모 주위에 가는 리본처럼 묘사된 것은 일산과 더불어 서왕모가
우화등선(羽化登仙)의 존재임을 표현한 것이다. 주연부에 뇌문이 돌려져 있다. 서왕모는 다소 괴기스러운 모습으로
묘사되었고 소매가 넓은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서왕모가 자리한 용호좌는 사진 개념이 성립되기 이전에 주로 유행하던
것으로 한대(漢代)의 이른 시기에 해당된다.
감신총(龕神塚) 새를 탄 선인 모사도
고구려
새를 타고 날아가는 선인의 모습이다. 이 선인은 곤륜산의 서왕모로 언급되기도 한다.
신선 동방삭(東方朔)
조선 - 이경윤(1545~1611)
동방삭은 여선(女仙) 서왕모의 선도(仙桃) 복숭아를 세 번씩이나 훔쳐 먹어 3천 갑자를 살게 되었다고 한다.
복숭아 모양 연적
고려 - 보물 제1025호
서왕모의 반도에서 유래한 복숭아는 장수를 축웒사는 대표적인 상징물이다. 시대를 막론하고 벽사와 장수의 상징으로
사랑받아 도자기나 연적등 다양한 생활 용품에서 회화나 공예품에 이르기까지 일상생활에 즐겨 사용되었다.
복숭아 모양 연적
조선
두꺼비와 토끼무늬 수막새
1. 통일신라 2. 중국 진~한
서왕모의 곁에 종종 등장하는 토끼와 두꺼비, 계수나무는 모두 장수를 상징한다. 신화에 따르면 토끼는 서왕모를 위해
달에서 불사의 약을 찧는다. 두꺼비는 서왕모가 자신의 남편 예에게 내린 불사약을 훔쳐 먹고 달로 도망간 항아로 달 속의 궁전
광한전(廣寒殿)에서 토끼와 함께 살아간다. 달 속의 계수나무는 잘라도 계속 자라나는 나무로
토끼와 두꺼비, 계수나무 모두 불로불사(不老不死)의 삶을 상징한다.
토끼가 불사약을 찧고 있는 거울
고려
큰 나무 아래 4명의 인물과 그 옆에 토끼가 약을 찧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받침 있는 은잔
백제 - 공주 무령왕릉 출토
공주 백제 무령왕릉 발굴 시 왕비의 머리 쪽에서 발견된 은잔과 청동제 받침이다. 은잔은 굽이 있으며, 연꽃,
산봉우리, 새, 용, 사슴, 나무 등이 새겨져 있다. 굽이 달린 접시 모양의 받침에는 중앙에 연꽃무늬,
가장자리에 거치무늬(鋸齒文)를 돌리고, 그 사이에 인면조(人面鳥), 용, 사슴, 새, 나무 등을 표현하였다.
산수무늬 전돌
백제 - 1937년 발굴, 부여 외리 출토 - 보물 제343호
산수 무늬를 표현한 백제시대 전돌이다. 아랫부분에는 수면을, 중간의 넓은 부분에는 신산(神山)을, 윗부분에는
구름이 떠 있는 하늘을 표현하였다. 산악의 중앙 아랫부분과 그 오른쪽 아랫부분에는 건물과 도사로 보이는
인물이 묘사되어 있다.
산과 구름 무늬 반원 수막새
1. 2. 중국 진(秦)
3. 짐승 모양 누름쇠
낙랑 - 평양 석암리 출토
4. 관 꾸미개
백제 - 부여 능산리 고분 출토
산 모양 연적
5. 6. 조선시대
도사 봉황무늬 거울
고려
한쪽에는 단정한 자세로 생황을 불고 있는 신선이 앉아 있고, 그 반대편에는 선인의 음악에 빠져 춤을 추는
봉황이 묘사되어 있다. 선인의 뒤편으로 묘사된 숲과 봉황 앞 쪽으로 펼쳐진 연못 등으로 깊은 산중에서 봉황과
교감하는 신선의 일상이 표현된 것으로 보인다.
1. 박산 향로 - 낙랑 석암리 출토/낙랑
2. 박산 술단지 - 중국 한
3. 박산 향로 - 신안 도덕도 출토/중국 원
1. 상림(上林)을 새긴 수막새
중국 전한
한대의 명문 막새 중에서 그 막새가 사용된 건물의 명칭이 새겨진 것들이 있는데,
궁전 혹은 관청의 이름이 새겨진 경우가 많다. 상림명 막새는 상림원에 세워진 건축물에 사용된 것으로
반원막새와 수막새가 함께 발견되었다.
2. 정원석
백제 - 익산 왕궁리 출토
왕궁리 유적에서는 연못과 배수시설, 집수시설을 비롯하여 정원 관련 건물지가 함께 발굴되었다. 연지의 외곡 전부를
판석으로 두르지 않고 기이한 형태의 조경석을 끼워 넣었다.
3. 나막신
백제 - 부여 능산리 사지 출토
▼
'牛馬처럼 걷는 서울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 한국의 도교문화 -4 (0) | 2014.02.12 |
---|---|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 한국의 도교문화 - 3 (0) | 2014.02.08 |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 한국의 도교문화 - 1 (0) | 2014.01.30 |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인간을 닮은 신들, 간다라 미술 (0) | 2013.12.13 |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콩고강 중앙아프리카의 예술 (0) | 2013.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