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牛馬처럼 걷는 전남 여행

(전남) 순천 선암사

 

순천 선암사

 

 
백제성왕 7년인(529)년에 선암사 비로암지에 아도화상(阿度和尙)께서 선암사를 창건하였고 사찰명을 해천사(海川寺)라하고 산명을 청량산(淸凉山)이라 하였다 한다.
그 뒤 도선국사께서 현 가람 위치에 절을 중창하고 1철불 2보탑 3부도를 세웠다고 한다. 지금도 선암사에는 1철불 2보탑 3부도가 전해진다.
이후 선암사는 대각국사 의천이 선암사의 대각암에 주석하면서 선암사를 중창하였으며 또한 천태종을 널리 전파하는 호남의 중심사찰 이었다.
 

대각국사 중창건도기에 의하면

그 때의 중창은 법당 13, 전각 12, 요사 26, 산암 19개소 등의 방대한 규모로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다.
이후 고려시대의 기록은 보이지 않고 다만 김극기(1171-1197)의 시에 적막하고 고요한 수행의 사찰로 적고 있다. 조선전기의 선암사의 기록은 중종 35년(1540)년 일주문을 중수했다는 기록이 유일하다.
선암사도 다른 절과 마찬가지로 정유재란 때에 큰 피해를 입는데 모든 전각이 불에 타고 철불, 보탑, 부도, 문수전, 조계문, 청측만이 남았다고 한다.

그 후 선암사는 복구를 못하다가 1660년에 경준(敬俊), 경잠(敬岑), 문정(文正)의 세 대사에 의하여 대웅전을 세우는 등 8년간 괄목할 중수를 이루었다.

그러나 전쟁이전의 상태를 복구하는데는 무리였다.
선암사의 중창불사를 마무리하신 분은 호암약휴(護巖若休)스님이었다. 호암스님은 승선교를 비롯하여 원통전 불조전 등을 만들었다. 중창이후 법당 8, 전사(殿舍) 12, 중료(中寮) 16, 산암 13, 부속암자로 선적암(善積庵), 도선암(道詵庵) 등에 이르렀다고 한다.

선암사는 잘 모르더라도 노승과 동자승이 등장했던 뒷간의 광고 배경이 되었던 곳이라면 아- 할 것이다.<아제아제 바라아제> 마지막 장면을 촬영했던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선암사가 영화나 광고에 나와서 유명해진 것은 결코 아니다.

선암사는 태고종의 총본산이며 아름다운 절집으로 이름나 있다.고려시대 도선국사가 창건했다는 설이 유력한 선암사를 대대적으로 중창한 분은 대고려시대 고승인 대각국사 의천. 지금 남아 있는 대웅전 기단과 돌계단이 그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절 서쪽에 신선이 바둑을 두던 평평한 바위가 있어 선암사라 이름붙여 졌다하는데 신선이 내려올 만큼 풍광이 좋다.

 

 

▲동부도전(화산대사 사리탑과 상월선사 비)

 

부도 11기와 비석 8기가 줄지어 있는데, 부도는 대부분 팔각원당형이다. 그 중에는 사사자가 삼층석탑을 지고 있는 이형부도 한 기도 있다. 이 부도는 부도밭에 있는 벽산대선사비(높이 3.75m)와 같은 시기인 1928년 무렵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화산대사부도(높이 4.1m)로, 사자 네 마리가 비석을 받치고 있는 모습이 전남 구례 화엄사의 사사자삼층석탑(보물 제94호, 8세기 중엽 작품)이나 충북 제천 빈신사터사사자석탑(보물 제94호, 1022년 작품)을 닮았다.]고 쓰여있다. 이중에서도 눈에 뜨이는 것은 삼층석탑이 부도군에 있는 것이 특이하다.

 
 
이 부도는 부도밭에 함께 있는 벽파대선사비(높이 3.75m)와 같은 시기인 1928년 무렵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화산대사 부도(높이 4.1m)로, 사자 네 마리가 비석을 받치고 있는 모습이 전남 구례 화엄사의 사사자삼층석탑(국보 제38호, 8세기 중엽 작품)이나 충북 제천 빈신사터사사자석탑(보물 제94호, 1022년 작품)을 닮았다

 
 
부도밭을 지나 계속 가면 길가에 장승 한 쌍이 서 있는데 특이하게도 남녀상이 아니라 모두 남자상이다. 빼어난 조형미를 갖춘 갑진년(1904) 선암사 나무장승 이후 정묘년(1987)에 새롭게 세워진 나무장승이다. 갑진년 나무장승은 1907년 이래 70년 동안 한 자리를 지킨 국내 최고의 나무장승이었다. 보통 나무장승은 10년 정도 지나면 썩어버리는데, 이 장승은 조직이 치밀한 밤나무로 만들어져 쉽게 썩지 않았다고 한다. 지금은 사찰 수호업무에서 퇴직하여 경내의 설선당으로 옮겨져 보호받고 있다
 
 
보물 400호인 승선교
 

큰 무지개다리는 길이 14m 높이 7m 너비 3.5m로, 길게 다듬은 30여 개의 장대석을 연결하여 홍예석을 드리우고 홍예석 양쪽에 잡석을 쌓아 계곡 양쪽 기슭의 흙길에 연결시켰으며, 위쪽에는 흙을 덮어 길을 만들었다. 기단부는 자연암반을 그대로 이용하여 홍수에 쓸릴 염려가 없도록 하였으며, 홍예석 중간에는 이무기돌을 돌출시켜 장식적인 효과와 함께 재해를 막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승선교는 숙종 24년(1698) 호암대사가 축조했으며, 순조 25년(1825) 해붕스님에 의해 중수되었다. 영조 5년(1729)에 놓은 보성 벌교의 홍예(보물 제

▲승선(昇仙)이란 영원의 시간(극락, 무량수)의 입구로 들어섬을 말한다.

승선교(길이 14m, 높이 7m,  너비 3.5m)는 홍수에도 휩쓸리지 않도록 지었으며 다리밑에 용머리를  좍해 놓았다. 승선교는 보물 400호로 조선시대 무지개 다리를 상징하며 다리 밑 용머리는 순천 시민들이 즐겨마시는 승주 막걸리의 심벌이기도 하다.

 

 

▲선녀가 밟고 하늘로 올라갔다는 선암사의 승선교

 

▲승선교 아래쪽에 있는 작은 승선교

 

이 다리를 건너 모퉁이를 돌면 반원형의의 무지개 다리 승선교와 마주친다.

 

▲조선 숙종39년인 1713년에 호암대사가 축조한 '승선교와 강선루'

 

선암사에는 현재 승선교와 강선루를 비롯 동,서 삼층석탑이 있는데, 특히 승선교와 강선루의 조화로운 모습은 선암사를 대표하기도 한다.

 

 


 
강선루
 
강선루는 누하 정면 1칸 측면 1칸이지만 2층은 정면 3칸 측면 2칸인 2층 팔작지붕집이다. 초창연대는 알 수 없으며 1930년에 수리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데, 측면 기둥 중의 하나가 계곡에 빠져 있는 점이 특이하다. 강선루에서 뒤를 돌아보면 굽어흐르는 계곡물 사이로 두 다리가 크고 작게 잇달아 있어 더 운치 있다. 강선루에 올라 둘러보는 경치가 더 멋지지만 오르지 못하도록 문이 잠겨 있는 경우가 많아 아쉽다.

 
삼인당
강선루에서 한 모롱이를 돌면 오른쪽 길섶으로 비껴나 있는 연못을 만난다.
길다란 타원형의 못 가운데에 알 모양의 섬이 있는 특이한 모습의 삼인당(三印塘)이다.
연못의 독특한 모습은 멋을 부리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 형태 안에 심오한 불교사상*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도선국사가 만들었다고 하지만 증명하기는 어렵고, 고려 의종 원년(1147) 낙성한 「대각국사중창건도기」(大覺國師重創建圖記)에도 나타나지 않은 것을 보면 그후에 만든 것이 아닌가 한다. 최근에 새롭게 단장되었다.
 
삼인이란

 

제행무상인(諸行無常印)
제법무아인(諸法無我印)
열반적정인(涅槃寂精印)

의 삼법인으로서 불교 사상을 나타낸 것이며 우리나라에서

독특한 이름과 모양을 가진 연못은 선암사에서만 볼 수 있는 곳임

 

 

▲초입의 천년고목이 매우 인상적이다. 그 뒤를 돌아 올라가면 일주문이 보인다.

 

▲하마비

이곳에 이르는 자는 계급의 높고 낮음, 신분의 귀천 떠나 말에서 내려 걸어 들어가야 한다는.  

일주문
 

▲고청량산해천사<일주문 안쪽의 현판>


 

일주문 지나 범종루..
 

▲범종루

 
 
 

▲장엄하고 화려한 대웅전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의 대웅전은 자연석 기단 위에 민흘림 기둥을 세워 지어졌는데 기둥머리에는 용머리 장식을 하였다.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화려한 겹처마 팔작지붕집으로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둥 위 뿐만 아니라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식이다. 공포를 앞뒤면에는 각 3조, 양 옆면에는 각 2조씩을 배치하여 장엄하면서도 화려함을 나타내었다. 특히 건물 안쪽 공포 구조에서는 화려한 연꽃 봉오리 장식으로 마감하여 조선 후기의 화려하고 장식적인 수법을 나타내고 있다.

선암사 대웅전은 다포계의 일반적인 수법을 따랐으나 화려한
건축양식과 장식성에서 조선 후기 중건 당시의 면모를 잘 간직하고 있어 학술적·역사적으로 중요한 가치가 있다.

 

▲보물제 395호 선암사 3층석탑

 

 

경내로 들어오면 오밀조밀 불국사같이 복잡한 모양을 한 건물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다. 설선당, 심검당, 그리고 가운데 동탑과 서탑이 있으며 바로 단 위쪽에 대웅전이 들어서 있다. 또 특이한점은 당간지주로 보이는 돌들이 셋트로 여기저기 있는 모양이 새롭다.

 

대웅전 과 삼층석탑 (보물 395호)
 
  

 
비사리 구시

 

 
 
 
 
  
 
대복전 뒷문
 
 
대복전 현판앞..천정문양.. 학들로 둘러싸여있다.

 
 
 
 
 
 
 
약수터
 
 

해우소 
 
  
앞에서 본 해우소..
 

▲높이 17M, 넓이 2M에 이르는 거대한 바위에 조각된 '마애여래입상'

 

 

 

선암사 가는 길
 
o. 서울에서 호남고속도로 타고 광주 지나 순천 가기 전
승주IC에서 우회전하여 선암사로 가면된다.
가는 길에 주암호-상사호로 가는 길이 나온다.
선암사를 들른 뒤 호수 양편을 따라 달리는 호반도로는
그야말로 청정 드라이브 코스다.
특히 산을  적시는 노을을 받으며 즐기는 푸른 호수의 전경은 인기 코스.
 
o. 순천역
 
시내버스 1번, 100번을 타면 선암사 가는 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