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牛馬처럼 걷는 충남 여행

(논산) 천 년 고찰 개태사(開泰寺)


천 년 고찰 개태사(開泰寺)


 



언제 : 2018년 10월 22일 월요일

어디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어렸을 적부터 개태사역은 수없이 지나친 곳이다.

서울 유학 중

방학 때 시골 내려가는 길에 지나치는 곳인데, 역 이름이 특이하게도 개태사였다.


그래서

어려서부터 자연스럽게 관심을 갖게 되었지만, 지금까지 그 많은 날 무엇을 하다가

내 나이 67세가 기운 가을 깊어가는 날

개태사를 찾았다. 



 △

개태사 가는 중 기차에서 담은 가을 들



개태사

어려서 부터 오늘까지 궁금했던 개태사가 누렇게 익은 벼 가운데 있어 가슴이 두근거린다.

나름

이름 값을 할 모양인가?.

 


 △

천호산 개태사

 

 

 




신종루(神鐘樓)

개태사는 일주문이 없고 

신종루 아래 4천왕 그림이 그려져 있는 사천왕을 통과하여 돌계단을 오르면 개태사 경내에 든다.



차를 타고 오는 도로에서 본 개태사는

내 바램과 같이 초라하지 않게 보였는데, 경내에 서니 달랐다.


신종루를 통과하여 돌계단을 올라서니 5층 석탑이 중앙에 자리하고

 뒤로 곧 개축해야 할 듯한 건물 정법궁과 팔각 지붕 건물 사이에 보통 절에서 볼 수 없던 태극기가 보인다.

그리고

왼쪽엔 극락대보전과 어진전이 있으며,  오른쪽엔 요사채가 절에 비해 


어울리지 않고 거대하게 서 있다.

 

△ 



 


 

 △

들국화도 

화려하지 않고 조촐하게 꽃망울을 달고 있다.



정법궁과 창운각

정법궁과 창운각(1947년에 건립)에는 단군영정과 석가여래좌상이 모셔져 있다.


正法宮(정법궁)'이란 편액이 걸려 있고

기둥에는 "南北統一世界平和祈願大道場(남북통일세계평화기원대도장)"이로 쓰인 주련이 걸려 있다.


유구한 오천 년 민족사 중 단 두 번 있었던 통일의 역사 현장이

 개태사가 중심이 되는 황산벌 일대인 것으로 보아 제3의 통일 성지로 개태사가 적지라고 주장한다.




왕건은 통일의 대업을 이루자,

부처님의 은혜와 하늘의 도움이라 여겨 황산을 천호산으로 개명하고 개태사를 창건하였다.


뒤 이 절에는 왕건의 옷 한 벌과 옥대가 보관되었다고 하며, 국가 대사가 있을 때마다

 어진에 나가 길흉을 점치기도 하였단다..

 실제 공민왕은 강화도로 천도하려는 마음으로 개태사에 사람을 보내 그 가부를 점치기도 하였다.



그 후 우왕 2년부터 14년까지 3차례에 걸친 왜구의 침입으로 방화 약탈되고,

원수(元帥) 박인계(朴仁桂)가 이곳 전투에서 패함으로써 개태사는 급격히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이 빛을 잃은 개태사는 이후 조선시대엔 폐사된 채 내려오다가

1934년 불자에 의해 재건되었고

매몰되었던 미륵삼존석불과 5층탑을 세우고 일시 개태도광사(開泰道光寺)라 칭하였다.



 삼일지상정천궁(三一地上正天宮)

육각전각으로, 1946년에 건립한 용화전으로 미륵불을 봉안하였다.

 

개태사 철확

우리나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고려시대 대형 철제 솥으로,

당시 개태사의 사세를 추정할 수 있으며, 법주사 철확과도 비교되고 있다.

1973년 12월 24일 충청남도 민속자료 제1호로 지정되었다.

 



극락대보전(極樂大寶殿)

석가여래삼존입상

보물 제219호

본존상의 높이 415㎝, 우협시보살상 346㎝, 좌협시보살상 349㎝.

개태사는 936년(태조 19) 태조가 후삼국통일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절이므로

이 삼존불상은 개태사 창건 당시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좌협시보살상


본존상


우협시보살상


천호산과 개태사

 

요사채

어떤 이유가 있어 요사채를 크게 세웠을 것이나,

개태사를 둘러보면 극락대보전과 신종루를 제외하면

정법궁 - 삼일지상천궁 - 철확각 - 어진정  모두 4개 법전은 다른 절에 비해 초라하기 그지 없는데

어울리지 않게 크고 화려하다.


어진전 내부

어진전





개태사 전경




연지에 반영되는 신종루


개태사(開泰寺)를 나서며

문득 생각한 곳이 강화도에 있는 고려 왕릉들이다.

남한에 고려 유적이 별로 없지만, 강화도에는 고려 왕릉이 4개나 있다.

고려 21대 희종(熙宗)의 석릉(碩陵) - 고려 22대 강종의 부인 원덕태후 유씨의 무덤인 곤릉(坤陵) -

 고려 23대 고종의 홍릉(洪陵) - 고려 원종의 왕비 순경태후의 무덤인 가릉(嘉陵)이다.

그들의 무덤은 평범한 일반인 무덤과 다를 바 없어

조선의 왕릉에 비할 수 없다.


어쩌면

개태사도 그와 같을 수 있다.

조선 시대에는 숭유억불정책으로 잘 나가던 절도 폐사 시키던 때인데, 왜구에 의해 불 타

흔적도 남지 않은 절을 돌 볼 수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제 조금씩 불사를 하며 언제가 올 그날을 기다리는 것 같다.

신라가 삼국 통일을 할 때 황산벌 전투에서 승리한 후였고, 고려가 통일을 할 때도 이곳 황산벌에서

신검이 항복하여 통일을 이루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