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牛馬처럼 걷는 충북 여행

(충북 단양) 역동(易東) 우탁(禹倬)선생과 사인암(舍人巖)

 

역동(易東) 우탁(禹倬)선생과 사인암(舍人巖)

 

 

 

 

사인암(舍人巖)은

남조천(일명 운계천)변에 병풍처럼 넓은 바위가 직벽을 이루며 위엄을 자랑하고 있는 곳으로

추사 김정희가 이곳을 두고 하늘에서 내려온 한 폭 그림과 같다고 찬양했을 정도로 그 경관이 특이하고 아름답다. 

 

고려 말기에 우탁(禹倬, 1263~1342)이 사인(舍人) 벼슬로 있을 때 이곳을 사랑하여 자주 머물렀기 때문에 이와 같이 불렀다는데,

 기암괴석이 꽃병풍을 두른 듯 하늘에 치솟고 계벽수의 유유한 자태는 해금강(海金剛)을 연상케 한다.

 

  

 

우탁 선생 기념비 앞에서 본 사인암

 

 

 

 사인암(舍人巖)은 소백산맥에서 발원하는 운계천을 따라 굽이굽이 열리는 운선구곡의 일곱 번째 계곡에 있으며

단양에서 8㎞쯤 남으로 떨어져 있다.

 

 

 

우탁 선생 기념비와 소나무

 

 

 

소나무(수령:100년) - 단양군 보호수 제12호

 

 

 

 

 

 

 

 

 

 

 탄로가(嘆老歌)

 

한 손에 가시를 들고 또 한 손에 막대를 들고

늙는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白髮) 막대로 치렸더니

백발(白髮)이 제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한 손에 막대를 잡고 또 한 손에는 가시를 쥐고

늙는 길은 가시 덩굴로 막고 찾아오는 백발은 막대로 치려고 했더니

백발이 (나의 속셈을) 제가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탄로가(嘆老歌)

 

춘산(春山)에 눈 녹인 바람 건듯 불고 간데없다

적은 덧 빌어다가 머리 우에 불리고저

귀 밑의 해묵은 서리를 녹여볼까 하노라

 

겨울눈을 말끔히 녹여내고 새싹을 움트게 하는 봄바람이 한동안 불더니

어느새 온데간데 없네

그 봄바람을 잠시 빌려다가 이 늙은 머리 위로 불게 해보고 싶구나

그리하여 벌써 어러 해가 된

귀밑의 서릿발 같은 흰 머리카락을 눈 녹이듯 녹여 보고 싶구나.

 

고려시가집 ‘청구영언(靑丘永言)’에 실린 역동우탁선생의 ‘탄로가(歎老歌)’ 두 수

우리나라에 전해오는 시조 중 가장 오래된 작품이며, 시조문학의 백미로 꼽히고 있다.

 

 

 

 

기암 위에 소나무가 참 아름답다.

 

 

운계천

 ▽ 

 

 

 

 

 

운계천과 사인암리

 

 

 

 

 

 

 

 

 

 

 

사인암 바닥 널다란 위 위에는 바둑판과 장기판이 새겨져 있다.

 

 

 

 

 

 

 

 

 

 

 

 

 

사인암리 주변 풍경

 

 

 

사인암 마을 자랑비

푸르고 깊은 계류에 하늘 높이 치솟아 기암절벽 사인암!

비단결 같은 바위 위에 노송이 곁들여 아름다움이 더하고 운계천 굽이굽이 벽계수가 신비경이로다.

고려 때 역동(易東) 우탁(禹倬) 선생께서 사인(정사품) 벼슬로 청유(淸遊)하였다는 사연으로 조선 성종 때 임재광 단양군수가

사인암이라 명명하였다.

수백년 암석이 물속에 비추어 단양팔경 중 제1경인 사인암을 찾는 이의 마음속에 자연의 신비스러움을 느끼게 하도다.

천상(天上)의 선녀가 석벽의 사이사이를 사뿐히 내려오는 모습은 한 폭의 산수화와 같도다.

이토록 아름다운 사인암을 자자손손 사랑하고 보존하고자 주민들의 뜻을 모아 이 비를 세운다.

1996년 11월 22일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사인암리 주민일동

 

 

 

 

09:30 사인암에 도착하여 11:30 사인암을 떠난다.

 

솔직히

더 머물며 한 잔 술에 취하여 사인암을 바라보고도 싶고, 해 질 녘 혹은 먼 동이 틀 때

사인암 모습을 보고도 싶은데,

해 지기 전에 도담삼봉과 석문을 만나야 하기에 아쉬운 마음으로 발길을 돌린다.

 

기암절벽이 더 높고 혹 더 낮은들 무엇하리

있는 그대로도 아름답다

 

억년을 견디어 왔을 터 억년을 더 견디어

내 다시 오는 날

수려한 지금 모습 다시 보여다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