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牛馬처럼 걷는 서울 여행

덕수궁 모란꽃과 고궁음악회

덕수궁 모란꽃과 고궁믐악회

 

언제: 2011-5-15(일요일)

누구: 아내랑

 

일요일이라 결혼식장을 다녀온 아내랑 오랜만에 서울 덕수궁 모란꽃 구경을 갔다.

당연히

그 이유가 있었다.

회사를 퇴직하고 서울 시청 앞 프라자 호텔 뒤 북창동에 자영업을 시작했을 때 02:00 영업을 끝내면 아내와 나는

시원하고 매코롬한 순두부나 고추장 양념 고기집에 들러 연탄불에 구워 먹었는데 언제부턴가 아내가 옛일을 추억하며

그 고기 얘기를 해서 덕수궁 모란꽃을 보고 저녁엔 옛날 그집에 가서 그 고기를 사 주고 싶은 이유였다.

 

아내를 위해 좋은 일을 하다 보니 또 다른 좋은 일이 생긴다.

덕수궁 입장을 하니 

18:30 서울 Spring 실내악 축제 고궁음악회가 중화전 앞에서 열린다기에 줄을 서서 무료티켓 두 장을 구하고

모란꽃이 저물고 있는 덕수궁을 돌아보았다.

 

 

 

 

 

 

 

 

 

 

석어당

고종의 친필

2층으로 오르는 계단

 

                                                                                                                      정관헌

                                                                                                   조용하게 세상을 바라보는 공간이란 뜻

 

 

                                                                                                               덕홍전

                                                                                              외국사신을 접견하기 위한 장소

  

함념전

고종의 편전이자 침전으로 고종이 승하한 곳

 

 

 

 

 

 

마로니에 꽃이 그윽하다.

                                                                                                                      석조전

                                                                                                                 석조전 서관(덕수궁 미술관)

 

 

 

 

 

 

 

덕수궁은 조선시대를 통틀어 크게 두 차례 궁궐로 사용되었다.

덕수궁이 처음 궁궐로 사용된 것은 임진왜란 때 피난을 갔다 돌아온 선조가 머물 궁궐이 마땅찮아 월산대군의 집이었던 이곳을 임시 궁궐로 삼으면서부터이다.

이후 광해군이 창덕궁으로 옮겨가면서 이곳을 경운궁이라 불렀고 조선말 고종이 이곳으로 옮겨오면서 다시 궁궐로 사용되었다.

고종 당시의 궁궐은 현재 정동과 시청 앞 광장 일대를 아우르는지금의 3배 규모였다. 고종이 일제에 의해 왕위에서 물러나고 순종이 창덕궁으로 옮기면서

고종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덕수' 라는 궁호를 올린 것이 궁궐의 이름이 되어 덕수궁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