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牛馬처럼 걷는 경기 여행

(광주) 곤지암 리조트와 화담숲 풍경

 

곤지암 리조트와 화담숲 풍경

 

 

 

 

언제 : 2019년 3월 30일 토요일

어디 :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도척윗로 278-1 화담숲

 


남도에는 

매화꽃과 산수유꽃은 한물가고 진달래꽃과 벚꽃이 지천으로 피고 있다는데,

중부지방은 봄꽃 구경하기엔 아직 일러 곤지암 화담숲은 봄꽃을 볼 수 있으려나 하는 마음으로 방문했다.


이른 봄꽃인 매화나 산수유는 군락지도 없어 아쉬웠고

동토에서 나오는 새싹과 꽃들은 눈비와 꽃샘추위로 기대치의 봄꽃은 보지 못했다.


그러나

약 세 시간에 걸쳐 데크길을 우산을 받으며 산책하고

건너편 곤지암 리조트의 태화산 스키장의 군데군데 눈이 녹지 않아 아름다운 풍광을 볼 수 있었으며

 맛난 점심도 들 수 있었다.

 

 화담(和談)은 ‘정답게 이야기를 나눈다’는 의미로,

화담숲은 인간과 자연이 교감할 수 있는 생태 공간을 지향하는 생태 공간으로 꾸몄다.

 

그러나

입장료와 모노레일 이용료를 포함하면 화담숲이 보여준 것에 비해

다소 부담스럽다는 생각이다.



곤지암 리조트

경기도 광주시 태화산 노고봉 계곡에 자리 잡은 곤지암리조트는

북미 스타일의 이국적이고 차별화된 콘도시설과 젖줄처럼 단지를 관통하는 생태 하천,

경기도 최대 규모의 스키장과 국내 최초로 도입되는 데스티네이션 스파 등 특급호텔을 능가하는 각종 시설을 통해

국내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없는 최상의 시설이란다.

곤지암 리조트

 

 

 

 

 ▲

곤지암 스키장

 

  

 

 

 

 

 

 

 

 

 

 

 

 

산수유꽃



 

  

화담숲 안내도

 


화담숲은

LG상록재단이 공익사업으로로

식물의 생태적 연구와 보전 및 생태체험을 통한 교육의 장으로 조성된 수목원으로 

  특성화 테마원(철쭉·진달래원, 수국원, 소나무 정원)과

차별화 테마원(이끼원, 암석 · 하경정원, 반딧불이원, 추억의 정원길) 등 서로 다른 테마를 가진 총

 15개의 테마원이 있다

 

화담(和談)은 "정답게 이야기를 나눈다."란 의미이며,

좋은 사람과 정답게 이애기를 나누며 화담숲의 산책길을 걸으며 자연을 보는 것이다.

 

모노레일(1) 승강장에서 모노레일 (2) 승강장까지 약 1.8km - 소요시간 약 40분

모노레일(2) 승강장에서 원앙연못까지 약 3.4km - 소요시간 약 80분

 

 

 

 

 

 

이끼원

 

 

모노레일

 

 

자작나무 숲의 풍경

 

 

 

 

화담숲 가장 높은 곳 제2 모노레일 승강장

이곳에 내려 차근차근 트레킹코스를 따라 내려가며 봄 풍경을 볼 수 있다.

 

 

관중(Shield Fern)

우리나라가 주산지인 여러해살이 양치류로 숲속 그늘진 곳에서 산다.

줄기에는 광택이 많이 나고 황갈색 혹은 흑갈색의 비늘 같은 것이 있으며 포자낭군은 잎 윗부분 가운데

가까이 2줄로 붙어 있다.

독성이 있어 식용은 불가!

(고사리와 혼동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다람쥐

 

 

 ▲

진달래군락지

 ▼

  

 

 

 

 

 

 

꾀꼬리

 

 

뻐꾸기

 

 

 

 

분재원 

▼ 

분재원

 

 

 

 

 

 

 

 

 

 

 

 

 

 

 

 

주목

 

 

 

 

 

 

 

 

규화묵 - 나무화석

 

 

 

 

 

 

 

 

 

 

 

 

 

 

소나무원 

 ▼

 

 

 

 

 

 

 

  

 

 

 

 

 

 

 

 

소나무

소나무는 원래 수리나무라 불렸는데, 수리나무가 솔나무가 되고, 솔나무가 다시

지금의 소나무로 불리게 되었단다.

소나무의 원래 이름은 "수리"라는 최고라는 뜻인데,

우리 선조들이 나무 중 으뜸을 소나무라 여겼음을 짐작할 수 있다.

최고의 나무 소나무는 벼슬도 가졌단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진시황제가 산 속에서 소나기를 만나 급하게 옆에 있던 소나무에 몸을 피했는데,

그 때 고마움을 표하기 위해 "오대부" 벼슬을 내렸다고 한다.

그 후 벼슬이 있는 나무라는 뜻으로 "송"이라 불리게 되었다. 소나무는 목재가 단단하고 갈라짐이 적어

집을 짓는데 많이 쓰였으며, 마을입구의 장승, 땔감, 농기구, 가구 등도 소나무로 만들곤 했다.

늘 푸른 모습으로 한국인의 삶과 맥을 같이해 온 소나무,

우리에게는 나무 이상의 의미를 가진 으뜸나무이다.

 

 

 

 

 

 

만병초길

 

 

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