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이야기

대한제국의 길 - 사진전 -1

 

대한제국(大韓帝國, Korean Empire)

1897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존재했던 제국으로 조선을 계승한 국가이자 

한반도의 마지막 군주국이다.

 

1897년 고종황제가 대한제국 수립 선포 이후

대한제국 정부는 여러 개혁을 시도했고, 자주적 국가가 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1905년 을사조약 이후 일본 제국에게 외교권이 박탈되었고,

이후 일본과 체결한 여러 조약으로 사실상 일본의 보호국으로 전락하였다.

 

1910년 8월 29일 한일 병합 조약으로, 대한제국은 일본 제국에 병합되었다.

이 이름에 사용된 대한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거쳐,

오늘날의 민주공화국 대한민국 국호로 이어지고 있다.

(위키백과 참조)

 

 

 

1897년 10월 12일 대한제국 고종

환구단(圜丘壇)을 짓고 하늘에 제사를 지낸 후 국호를 대한국(大韓國), 연호를 광무(光武)로 정하고,

초대 황제로 즉위했다.

고종은 1882년부터 사용하던 태극기(太極旗)를 국기로 정하고,

국장을 이화문(李花紋)으로 하였으며, 애국가(愛國歌)를 국가로 하였다.

 

대한제국은 자주성과 독립성을 한층 강하게 표방하고자 사용된 의례상·의전상 국호로,

대한제국의 국명은 ‘대한(大韓)’이다.

대한이라는 말은 '삼한(三韓)'에서 유래한 것으로 고구려, 백제 그리고 신라를 통틀어서 삼한이라 불렀는데,

그 삼한이 통일되었다는 의미에서 대한이라 한다.

 

 여기서 대한제국의 국호의 어원을 설명하는 내용에서 나오는 마한, 진한, 변한은

4세기 이전 한반도 남부의 삼한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10세기의 후삼국 시대의 후고구려, 후백제, 신라를 가리킨다.

뒷 문장에 마한, 진한, 변한이 고려에 이르러서 통합되었다는 구절이 나오기 때문이다.

여기에 국호를 변경하면서 제국이라고 선포하였기에 ‘제’(帝)가 더해져 대한제국이 되었다.

 

대한이라는 이름은 1919년 4월 11일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으로 망했으니 대한으로 다시 흥해보자"는 취지로 국호로 재사용했고,

1948년 8월 15일 수립된 대한민국 정부에 그대로 이어졌다.

(위키백과 참조)

 

 

 

 

 

 

 

 

 

 

 

 

 

 

 

 

 

 

 

 

 

 

 

 

 

 

 

 

 

 

 

 

 

 

 

 

 

 

 

 

 

 

 

 

 

 

 

 

 

 

 

 

 

선교사들에 의해 배제학당, 이화학당 등 교육기관과

시병원, 보구여관이 설립되면서 선교기지의 성격 또한 갖게 되었다.

 

 

 

 

 

 

 

 

 

 

 

 

 

 

 

 

 

 

 

 

 

 

 

 

 

 

 

 

 

 

 

 

 

 

 

 

 

 

 

 

 

 

대한제국 건국의 배경

임오군란 이후의 청나라의 간섭과 을미사변과 아관파천을 위시한 외세로 말미암아

열강 세력의 이권 침탈을 비롯한 국가의 자주성이 크게 위협받자

자주성을 띤 국가 수립을 염원하는 백성의 목소리가 점차 높아져 갔다. 독립협회의 고종 환궁요구와

조선의 자주독립 주장에 힘입어 대한제국이 성립되게 이르렀다.

1897년(광무 원년) 2월 20일 고종은 경운궁으로 환궁하여 그 해 8월 17일 광무(光武)란 연호를 쓰기 시작하고

10월 3일 황제 칭호 건의를 수락하였다.

고종은 자주 의지를 대내외에 널리 표명하고 땅에 떨어진 국가의 위신을 다시 일으켜 세우려면

반드시 제국이 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으며, 10월 12일 원구단(園丘團)에서 상제(上帝)님께 천제를 올리고

국호를 대한제국이라 고치고 황제를 자칭하면서 즉위하였다.

 

대한제국이 선포되자 각국은 대한제국을 직접으로, 간접으로 승인하였다.

그중 러시아 제국과 프랑스는 국가 원수가 직접 승인하고 축하하였으며

영국, 미국, 독일도 간접으로 승인하는 의사를 표시하였다. 그러나 당시 열강 대부분은 대한제국의 성립을

그다지 반기지 않았다. 제위에 오른 고종은 그 직후인 11월 12일 미루었던 명성황후의 국장(國葬)을 치렀으며,

과거에 청나라에 대한 사대주의 사상의 상징인 영은문을 허물고

그 자리에 독립문 건립에 추진하여 11월 20일에 완공하였다.

 

고종은 경운궁으로 환궁하고서 입법기관인 교전소를 설치하고 원로대신 다섯 명과

더불어 박정양과 이완용, 서재필 탁지부 고문 영국인 존 브라운, 법부고문 샤를 르장드르를 위시한 외국인 고문관들을

교전소 부총재와 위원으로 배정했으나 교전소 위원이 친미개화파와 외국인이 과반수를 차지하자

원로대신들이 꺼리는 바람에 수포로 돌아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