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牛馬처럼 걷는 서울 여행

(국립중앙박물관) 자하 신위(紫霞 申緯) 탄생 250주년 기념 서화전

 

자하 신위(紫霞 申緯) 탄생 250주년 기념 서화전

 

 

 

 

어디 :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2층 서화실

 

 

송나라 시가 소동파를 으뜸으로 삼는다면

우리 한국의 시는 마땅히 신자하(자하 : 신위 1769~1847)를 으뜸으로 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문(文)은 연암(박지원 1737~1805)에게서 망했고,

시(詩)는 자하에게서 망했고,

글씨는 추사(김정희 1786~1856)에게서 망했다.

 

이 모두 19세기 시. 서. 화 삼절이라 일컬어졌던 자하 신위를 두고 한 말이다.

첫번째 인용문은 자하의 시를 첫손가락으로 쳐준다는 뜻이지만,

두번째 인용문, 즉 문은 연암에게서, 시는 자하에게서, 글씨는 추사에게서 망했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이것은 이 세사람이 각각 시. 서. 화에서 너무나 엄청난 성취를 이뤘기 때문에 후확들이 더 발전시킬

여지가 없을 정도로 높은 벽이 되었다는 "극찬"의 다른 표현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5일부터 내년 3월8일까지 상설전시관 2층 서화실에서

 자하 신위의 탄생 250주년을 기념하는 서화전 ‘자줏빛 노을에 물들다’ 특별전을 열고 있다.

앞서 길게 인용했듯 자하는 시·서·화 삼절이자 조선시대 3대 묵죽화가로 이름 높지만,

그 삶과 예술의 깊이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지고보면

시·서·화 삼절 중 세 가지 모두 최고 수준으로 성취한 인물은 신위를 빼고 달리 찾기 어렵다.

조선후기 삼절로 꼽히는 강세황(1713~1791)과 김정희(1786~1856)도 시만큼은 신위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자하는 생전에 이미 “두보(712~770)의 시를 배우듯 신위의 시를 읽는다”라 할 정도로 대가로 인정받았다.

또 20세기에 들어서도‘쇠퇴해가는 시대에 훨훨 날아오른 대가’라 하여

고전 문학의 마지막 거장으로 추앙됐다.

(경향신문 발췌)

 

 

 

 




 

 

 ▼ 

 

 

 

 

 

 

 ▼

 

 

 

 

  

신위의 방대도(訪戴圖)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신위의 대나무 그림은 줄기가 가늘고 여백이 넓어 고아한 인상을 풍긴다.

옛 선비들은 대나무의 올곧은 품성을 사랑하여 먹으로 대나무를 그렸다. 신위는 어려서부터

강세황(1713~1791)에게 묵죽을 배웠으며, 중국 양주팔괴(揚州八怪) 중 한 사람인

 정섭(1693~1765)의 대나무 그림을 재해석하여 일가를 이루었다.

 

 

 

 

 

 

 

 

 

 

 

 

 

 

 

 

 

 

 

 

 

 

 

 

 

 

 

 

 

 

 

 

 

 

 

 

 

 

 

 

 

 

 

 

 

 

 

 

 

 

 

 

 

 

 

 

 

 

자하 신위의 시는 청신하고 회화성이 넘친다.

그의 글씨와 그림에도 이러한 시적 정취가 깃들었으니, 시·서·화가 혼연히 하나 된 진정한 삼절이라 할 수 있다.

추사는 고대 비석 연구를 토대로 독특한 서풍을 창출했고,

자하는 왕희지(303~361)를 모범으로 삼아 우아한 서풍을 연마하여 서로 다른 개성을 보여주었다.

 

단적인 예로 자하와 추사는 모두 윤정현(1793~1874)을 위해 그의 호인 ‘침계’를 써 주었다.

그런데 김정희의 <침계>(간송미술관 소장)와 신위의 글씨를 비교해 보면 그 차이를 쉽게 알 수 있다.

이재호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는

“두 사람의 서예는 지향점은 다르지만 19세기 조선 문인이 다다른 최고의 경지를 보여준다”고 전했다.

 

이번 특별전에는 자하의 <묵죽도> 등 25건 85점의 유품이 전시된다.

자하는 당대의 명필 송하 조윤형(1725~1799)의 딸을 배필로 맞았지만 아들을 얻지 못하고

부실 조씨에게서 네 서자를 얻었다.

평산 신씨 명문가라는 무게에도 불구하고 그는 입양으로 적자를 잇지 않고 네 아들을 동등하게 길러내었다.

그는 자녀들이 자신과 마찬가지로 예술을 통해 삶의 의미를 찾기를 바라고 격려했다.

 

<시령도>에는 신위 부자의 가족애가 담겨있다.

문장과 산수화로 이름을 남긴 맏이 신명준(1803~1842)과

화사한 꽃그림으로 일세를 풍미한 둘째아들 신명연(1809~1886)이

아버지 신위와 합작한 두루마리 작품으로 그 의미가 남다르다.

 

처음 공개되는 신위의 필사본 문집(<경수당전고>) 곳곳에도 아이들을 애틋해하는 아버지의 마음이 잘 담겨있다.

자하는 또 탄은 이정(1554~1626), 수운 유덕장(1675~1756)과 더불어 조선시대 3대 묵죽화가로 손꼽혔다.

당시의 권세가들은 그의 대나무 그림을 얻고자 앞 다투어 찾아왔다.

자하가 승정원 승지로 근무할 때 그림을 감히 부탁하지 못하고 머뭇거리는 하급 서리에게

“내가 어찌 너에게만 인색하게 굴 것이냐”라 웃으며 그 자리에서 대나무를 그려주었다는 일화는

신위의 소탈한 사람됨을 잘 보여준다.

 

‘그림보다도 가슴 속에 대나무를 완성하는 것이 먼저’라는 ‘흉중성죽(胸中成竹)’이라는 말은

예술에 앞서 인격을 닦아야한다는 의미도 담고 있다.

이재호 학예사는

“<묵죽도>의 담백한 붓질에는 사람을 지위로 차별하지 않았던 신위의 인품이 그대로 묻어난다”고 밝혔다.

(경향신문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