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 종묘(宗廟)
언제: 2012년 10월 29일 월요일
종묘(宗廟)
종묘는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국가 최고의 사당이다.
조선의 태조가 한양을 새 나라의 도읍으로 정하고 나서 바로 짓기 시작하여 1395년에 궁궐의 왼쪽인 이곳에 자리를 잡아
경복궁보다 먼저 완공했다.
그 후 왕조가 이어져 봉안해야 할 신위가 늘어남에 따라
몇 차례 건물의 규모가 커져서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왕이나 왕비가 승하하면 궁궐에서 삼년상을 치른 후에
그 신주를 종묘로 옮겨 모신다.
정전에는 공덕이 뛰어난 임금들을 모셨고, 영녕전에는 태조의 4대조와 죽은 뒤에 왕으로 추존되었거나
정전에서 신주를 옮겨온 임금들을 모셨다.
정전의 신실 19칸에는 태조를 비롯한 왕과 왕비의 신위 49위를, 영녕전의 신실 16칸에는 신위 34위를 모셔 두었다.
왕위에서 쫓겨난 연산군과 광해군의 신위는 종묘에 모시지 않았다.
종묘제례는 국가의 가장 큰 제사로서
정전에서 1년에 5번, 영녕전에서는 1년에 2번 열렸으며, 왕이 친히 주관했다.
종묘제례에는 왕세자와 문무백관이 참여하였으며, 음악(樂). 노래(歌). 춤(舞)이 일체화한 종묘제례악에
맞추어 진행했다.
현재 종묘제례는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행하고 있다.
제사외에도 종묘에서는 국가의 중요한 일을 알리거나 기원하는 의식을 행하기도 했다.
종묘의 모든 건물은 장식과 기교를 배제하여 단순하고 엄숙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단순함 속에서 삶과 죽음의 깊은 의미를, 엄숙함 속에서 왕조의 신성한 권위를 읽을 수 있다.
중국이나 베트남과 달리,
한국의 종묘는 건축물과 더불어 제례와 제례악의 본모습을 그대로 보존하여 실현하고 있는
유일한 곳이다.
종묘는 1995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은 2001년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으로 등재되었다.
외대문(종묘 정문)
정전 신위 봉안도
정전(正殿) 국보 제227호
정전(正殿) 국보 제227호
영녕전(永寧殿) 보물 제821호
영녕전(永寧殿) 보물 제821호
종묘의 역사
년도 | 내 용 |
---|---|
1394년(태조3년) | 종묘기공 |
1395년(태조4년) | 9월29일 정전 7실 준공 |
1395년(태조4년) | 윤9월28일 추존 4대(목왕, 익조, 도조, 환조)의 신주를 새 종묘에 봉안 |
1398년(태조7년) | 2월 종묘 남쪽에 가산(假山)조성 |
1406년(태종6년) | 2월 재궁건립 |
1421년(세종3년) | 정종(定宗)을 부묘할 때 태실(太室)부족으로 송조사조전 전례 (宋朝四祖殿 前例)에 따라 동년 10월 태묘서방에 영녕전(永寧殿) 4실을 건립[12월16일 목조를 영녕전 정전 제1로遞遷하였음] |
1546년(명종원년) | 정전 4실 증축 |
1592년(선조25년) | 5월3일 임진왜란으로 정전ㆍ영녕전이 모두 병화(兵火)로 소실 |
1608년(광해군 즉위년) | 5월30일 정전 중건(重建) 정전 11실이 됨. 영녕전 10칸 규모로 다시세움 |
1726년(영조2년) | 정전 4실 증수(增嫂) |
1836년(헌종2년) | 정전 4실 증수(增嫂) |
1928년 | 正殿(太祖→純宗 19室 48位) 永寧殿(穆祖→莊祖 15室 32位/室空間) 功臣堂(太祖부터 純宗까지 83位의 功臣配享) |
1931년 | 육교가설 |
1945년 | 종묘대제(宗廟大祭) |
1961년 | 일반공개 |
1963년 | 1월18일 종묘 史蹟 125號 지정 |
1964년 | 12월7일 宗廟祭禮樂 重要無形文化財 1號로 지정 |
1969년 | 순정효황후를 부묘하여 정전 신주가 49位가 됨 종묘대제봉행 재개 10월1일 1회 대제봉행(국가) |
1970년 | 英親王 昇遐 |
1971년 |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서 매년 5월초 일요일에 종묘대제를 봉행키로 결정함. |
1973년 | 영녕전 16실에 의민황태자(영왕) 부묘 총33위가 됨. |
1975년 | 5월3일 종묘제례가 重要無形文化財 56號 지정 |
1985년 | 4월15일 정전ㆍ영녕전 일반공개 |
1991년 | 영녕전 16실에 의민황태자비(이방자) 부묘. 총34위가 됨. |
1995년 | 12월9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제19차 정기총회에서 '서울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의거하여 유네스코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 |
1997년 | 5월2일 세계문화유산 표석 제막 |
2001년 | 5월18일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이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으로 선정 |
종묘 제례 및 제례악
'牛馬처럼 걷는 서울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경복궁(景福宮)의 가을 (0) | 2012.10.31 |
---|---|
(서울) 경복궁(景福宮) 수문장 교대식 (0) | 2012.10.30 |
(서울) 북한산 단풍-2 (0) | 2012.10.24 |
(서울) 국립서울현충원 (0) | 2012.10.18 |
(서울) 북한산 단풍-1 (0) | 2012.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