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78호 반가상과 국보 제83호 반가상의 비교
"불상, 간다라에서 서라벌까지"
특별 전시장에서는
다른 유물들은 사진 촬영이 불가능했지만, 국보 제78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국보 제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
특별히 이 두 유물만 모셔진 공간에서 전시를 했고,
다행히 촬영이 가능했다.
두 반가상을 구경하고 나오려다가 두 반가상을 비교하는 영상이 있어 흥미롭게 보았다.
국보 제78호 반가사유상이 국보 제83호보다 먼저 만들어졌고, 자세히 보면 다른 점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된다.
역시
아는 만큼 눈에 보인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세 번째 일본편에서 유홍준은
국보 78호, 83호 반가사유상을 비교하는 역사학자 안병욱의 견해를 들려준다.
안병욱은 83호가 78호보다 낫다고 평가한다.
발의 표현 때문이다.
“78호는 곰발바닥처럼 평발인데 83호는 엄지발가락을 살짝 비튼 가벼운 움직임이 있다.”
안병욱의 비교는 일본의 국보 1호인 고류사 반가사유상과 83호를 대상으로 이어진다.
이번에는 손에서 우위가 갈린다.
“광륭사(고류사) 반가상은 그저 상투적인 수인(手印·손 모양)으로 원을 그리고 있지만
국보 83호는 얼굴에 손을 대고 명상하다가 법열에 들면서 입가에 미소가 감돌고… 손가락은 뺨에서 막 떨어지는 순간을 나타냈으니
이것이 훨씬 높은 예술성을 지녔다.” 안병욱의 심미안에 감탄하며
유홍준은 “명작의 비밀은 이처럼 디테일에서 두드러지는 경우가 많다”고 적었다.
안병욱이 78호, 83호를 비교한 것은 2004년 전시회 때였다.
국립중앙박물관이 경복궁에서 용산으로 이사하면서 다른 유물은 모두 빼고, 두 점만 남겨 전시할 때였다.
한국 불교 조각 중 최고로 꼽히는 두 유물의 우열을 비교하는 ‘모험’은 78호, 83호를 한눈에 보고 있었기에 가능했는지도 모른다.
이런 경험은 좀처럼 만나기가 쉽지 않다.
교체전시, 해외 대여 등으로 두 점이 함께 전시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78호, 83호를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전시회가 2004년 이후 처음으로 열렸다.
9월 25일부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되는 ‘고대불교조각대전-불상, 간다라에서 서라벌까지’ 특별전이다.
광륭사 반가상은 없지만
일본을 비롯해 중국, 인도 등의 불상을 여러 점 모아 한국의 불상과 비교할 수 있는 드문 기회다.
특별전은 반가사유상이 인도에서 만들어진 후 중국, 한국을 거쳐 일본으로 전해진 과정을 더듬는다.
반가사유상은 불교 수행의 기본 자세인 가부좌에서
한쪽 다리를 지면에 딛고 있는 ‘반가’와 진리에 도달하기 위해 실천해야 하는 철학적 행위인 ‘사유’가 합쳐져 탄생했다.
‘신성과 인간미가 하나의 작품에 융화되어 빚어진 예술품’이라고 해석된다.
6, 7세기의 고대 한국은 반가사유상이 절정을 맞은 무대였다.
당시 성행하던 미륵신앙과 결합돼 미륵보살상으로 완전히 정착했고, 독립된 공간에서 숭배되며 일본으로까지 전해졌으며,
경북 봉화군 북지리에서 발견된 반가사유상은 남아 있는 것만 1.7m에 이르는 대형 작품도 등장하는데,
없어진 상반신까지 합치면 3m에 달할 것으로 추정돼 동양 최대의 것으로 꼽힌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세속의 고뇌에서 벗어나고자 시작한 반가사유상의 인간적 사유는 시간이 흐르고 불교가 동쪽으로 전래되면서
중생을 구제하고자 하는 신의 사유로 점점 바뀌어 갔다”고 설명했다.
이 영상을 통해 두 반가상을 다시 보게 되었고,
역시
아는 것 만큼 보인다.
'문화재(국보 및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170호 매화 새 대나무무늬 항아리(白磁 靑畵 梅鳥竹文 壺) (0) | 2016.02.24 |
---|---|
국보167호 청자 도교 인물 모양 주전자(靑磁 道釋人物形 注子) (0) | 2016.02.21 |
국보 제78호 반가사유상과 국보 83호 반가사유상 (0) | 2015.11.05 |
국보 제2호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0) | 2015.07.11 |
국보 제86호 경천사 십층석탑 (0) | 2015.07.08 |